국내 / 해외 여행 시 필수로 챙겨야 하는 물품에 “보조 배터리”가 늘 함께 있죠^^ 하지만 최근 항공기 화재 사고의 원인이 보조배터리로 확인되면서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소지 규정이 새롭게 생기게 되었습니다. 과연, 우리나라 항공사들은 어떤 규정을 적용 했는지, 자주 이용하는 해외 항공사들은 어떤 규정이 있는지 각 항공사 별로 찾아 본 내용 정리 해 드리겠습니다😉
Contents
여행 시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시 반드시 휴대해야 하며, 위탁 수하물로는 절대 보낼 수 없습니다. 이는 모든 국내 항공사에 공통된 규정입니다. 하지만 기내 보관 방법과 포장 방식은 항공사마다 세부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항공사별 규정을 정확히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한항공 보조 배터리 소지 규정
우선, 대한항공의 경우 비행기에서 탑승 한 이후 안내 방송을 통해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후” 보관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
안내 내용으로는 보조 배터리를 선반이 아닌 좌석 주머니에 보관해야 하고, 좌석 주머니에 휴대용 보조 배터리 보관용 지퍼백이 있으며, 지퍼백 1개당 보조배터리 1개씩 넣어 보관해야 하는 내용을 전달 합니다.
- 보관 위치: 좌석 앞 주머니 (상단 선반 보관 금지)
- 포장 방식: 좌석 주머니 내 비치된 지퍼백 1개당 보조배터리 1개씩 보관
- 기타: 기내 방송을 통해 안전한 보관 방법을 별도로 안내
아시아나 항공 보조 배터리 소지 규정
아시아나 항공 역시 상단 선반에 보조 배터리를 보관할 수 없고, 좌석 앞 주머니에 보관해야 합니다. 기내 전원을 이용해서 배터리를 충전 할 수 없으며, 가능하면 절연 테이프 처리를 하거나 지퍼형 비닐백에 넣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아시아나의 경우 탑승 대기중인 게이트 앞에서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안내 고지를 하고 있습니다.
- 보관 위치: 좌석 앞 주머니 (상단 선반 금지)
- 포장 권장: 절연 테이프 처리 또는 지퍼백 사용
- 기타: 게이트 앞에서 사전 안내 진행, 기내 충전 금지
저비용 항공사(LCC) 규정
저비용 항공사 모두 상단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후 선반에 보관이 금지하고, 보조 배터리는 개별 포장 또는 절연 테이프 처리 하여 개인이 소지하는게 공통 원칙으로 확인 됩니다.
아래는 항공사 별 세부 규정입니다.
제주항공
- 보조배터리는 탑승자가 소지
- 상단 기내 선반 보관이 금지
진에어
- 합선 방지를 위하여 반드시 개별 포장(비닐팩, 보호캡, 절연 테이프 부착 중 1가지 진행)
- 개인이 휴대하거나, 좌석 앞 주머니에 보관(상단 기내 선반 보관 금지)
에어부산
- 배터리가 들어있지 않은 가방에 대해서 “노배터리” 스티커를 붙임
- 스티커가 붙어있는 가방만 선반에 보관 가능하고, 안붙어있는 가방은 탑승객이 소지
티웨이
- 보조 배터리는 개별포장하여 직접 소지해야 함
에어서울
- 보조 배터리는 각각 개별포장 하거나 절연 테이프 부착. 상단 선반이 아닌 탑승객이 소지 또는 좌석 앞주머니에 보관
규정 요약
항공사 | 보관 위치 | 포장 방식 | 기타 |
---|---|---|---|
제주항공 | 탑승객이 직접 휴대, 선반 금지 | 권장 없음 | – |
진에어 | 좌석 앞 주머니 또는 직접 휴대 | 개별 포장 필수 (비닐팩/캡/절연 테이프) | 합선 방지 목적 |
에어부산 | 배터리 없는 가방에만 ‘노배터리’ 스티커 부착 가능 | – | 스티커 없는 가방은 직접 소지 |
티웨이항공 | 직접 소지 | 개별 포장 필수 | 상단 선반 보관 금지 |
에어서울 | 좌석 앞 주머니 또는 직접 휴대 | 개별 포장 또는 절연 테이프 부착 | 충전 금지 |
🔎 중요 포인트
대부분의 국내 항공사는 상단 기내 선반 보관을 금지하며, 절연 처리가 된 개별 포장을 강력히 권장하고 있습니다. 규정을 지키지 않을 경우, 탑승 시 제지되거나 보조배터리 압수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외 항공사
해외여행 시 국내 항공사가 아닌 외국 항공사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일본, 베트남, 태국, 대만, 괌 등 인기 여행지의 항공사들은 보조배터리 규정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출국 전 확인이 필수입니다. 대부분의 해외 항공사도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만 허용하며, 위탁 수하물 반입은 금지하고 있습니다.
일본
- 일본항공 (JAL) : 비행기 탑승 시 보조 배터리는 위탁 수화물로 보낼 수 없음.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후 가지고 타야 함
- 전일본공수(ANA) : 합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 포장 또는 절연 스티커 부착 후 탑승객이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하고 휴대해야 함
항공사 | 반입 규정 | 포장 방식 및 보관 위치 |
---|---|---|
일본항공 (JAL) | 위탁 불가,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필수 | 따로 포장 기준 없음 (기내 소지) |
전일본공수 (ANA) |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필수 | 개별 포장 또는 절연 테이프 부착 필요 |
베트남
- 베트남항공(Vietnam Airlines)
- 보조 배터리의 충전을 금지하고, 개별 포장 또는 절연 스티커를 부착.
- 쉽게 보일 수 있도록 휴대 가방에서 꺼내서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전원이 꺼져 있어야 함.
- 비엣젯항공(Vietjet Air)
- 절연 테이프 / 단자캡 부착 / 투명 지퍼팩 등으로 개별 포장해야함.
- 기내 선반에 보관이 금지되며, 기내에서 충전 금지
항공사 | 반입 규정 | 포장 방식 및 주의사항 |
---|---|---|
베트남항공 | 기내 충전 금지 | 개별 포장 또는 절연 테이프 부착, 전원 OFF 필수 |
비엣젯항공 |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필수 | 절연 테이프/단자캡/투명 지퍼팩 중 하나 사용, 선반 보관 금지 |
태국
- 타이항공(Thai Airways)
- 기내에서의 보조배터리 사용과 충전을 금지.
- 방콕항공(Bangkok Airways)
- 보조 배터리의 충전을 금지하고, 개별 포장 또는 절연 스티커를 부착.
- 쉽게 보일 수 있는곳에 놓거나 몸에 소지하고 있어야 함.
항공사 | 반입 규정 | 포장 방식 및 위치 |
---|---|---|
타이항공 | 기내 충전 및 사용 금지 | 특별한 포장 기준 없음 |
방콕항공 | 충전 금지 | 개별 포장 또는 절연 테이프, 눈에 잘 보이는 곳에 보관 필수 |
대만 & 홍콩
- 중화항공(China Airlines) : 기내에서의 보조배터리 사용과 충전을 금지.
- 캐세이퍼시픽항공(Cathay Pacific Airways) : 개별 포장 또는 절연 스티커를 부착. 쉽게 보일 수 있는곳에 놓거나, 몸에 소지하고 있어야 함.
- 홍콩익스프레스(Hong Kong Express) : 보조 배터리의 충전을 금지하고, 개별 포장 또는 절연 스티커를 부착.
- 쉽게 보일 수 있는곳에 놓거나 몸에 소지하고 있어야 함.
항공사 | 반입 규정 | 포장 및 위치 |
---|---|---|
중화항공 | 기내 충전 금지 | 특별한 포장 기준 없음 |
캐세이퍼시픽 |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필수 | 절연 테이프/개별 포장, 몸에 소지 또는 눈에 띄게 보관 |
홍콩익스프레스 | 충전 금지 | 절연 테이프/개별 포장, 기내 선반 보관 금지 |
괌
- 델타항공(Delta Air Lines) : 비닐팩 또는 배터리 케이스에 표장하거나, 절연 스티커를 부착. 승객이 직접 소지.
- 유나이티드항공(United Airlines) : 배터리의 전원을 끄고, 쉽게 보일 수 있는곳에 놓거나 몸에 소지하고 있어야 함. 개별 포장 또는 절연 스티커를 부착하여 탑승
항공사 | 반입 규정 | 포장 방식 |
---|---|---|
델타항공 | 기내 반입 필수 | 비닐팩/케이스 포장 또는 절연 테이프 부착, 직접 소지 |
유나이티드항공 |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필수 | 전원 OFF, 개별 포장 또는 절연 테이프 부착, 눈에 띄게 소지 |
유럽
유럽의 경우 복잡하기에 아래 글을 대신 읽어주세요. ▼
해외 항공사 공통사항 요약
-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만 허용, 위탁 수하물 금지
- 충전 금지가 대부분
- 절연 테이프 또는 개별 포장 필수
- 눈에 띄는 위치에 소지해야 하는 항공사 다수
여행 전 꼭 확인! 보조배터리 안전 반입 요령
항공사마다 규정은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보조배터리 반입 수칙이 있습니다. 이 기본 규칙만 잘 지켜도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문제없이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이 가능합니다.
1️⃣ 위탁 수하물 금지
- 보조배터리는 무조건 기내에 휴대해야 합니다.
- 위탁 수하물에 넣을 경우, 탑승 전 압수되거나 탑승 거부될 수 있습니다.
2️⃣ 절연 테이프 또는 단자 캡 부착
- 단자가 노출된 상태일 경우 합선 위험이 있습니다.
- 절연 테이프를 붙이거나, 전용 단자 캡 또는 보호 케이스를 활용하세요.
3️⃣ 개별 포장 & 지퍼백 사용
- 보조배터리를 비닐 지퍼백 또는 별도 파우치에 포장하면 안전도 높이고, 규정도 충족합니다.
- 다수의 보조배터리를 휴대할 경우, 개별 포장 필수입니다.
4️⃣ 좌석 주머니에 보관 (선반 금지)
- 대부분의 항공사는 상단 선반 보관을 금지합니다.
- 보조배터리는 좌석 앞 주머니 또는 몸에 지니는 방식이 가장 안전합니다.
5️⃣ 기내 충전 금지
- 기내 USB 포트 사용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금지된 경우가 많습니다.
- 배터리 과열 방지를 위해 기내에서는 충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보조배터리는 화재·폭발 위험이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이기 때문에, 항공사들의 규제가 갈수록 엄격해지고 있습니다. 정해진 규정을 잘 지키는 것이 여행자 본인의 안전은 물론, 타인의 안전까지 지키는 일이라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마치며
보조배터리는 이제 모든 여행자의 필수템이지만, 항공기 안전을 위한 규정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국내외 대부분 항공사는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만 허용하며, 포장 방식과 보관 위치까지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여행 출발 전 자신이 이용하는 항공사의 최신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불필요한 혼선과 불이익을 막는 핵심입니다.
🎒 여행 전 체크리스트 (보조배터리 기준)
- 보조배터리는 위탁 수하물이 아닌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으로 준비했나요?
- 절연 테이프, 단자 캡, 비닐 지퍼백 중 하나 이상으로 개별 포장했나요?
- 기내에서는 상단 선반이 아닌 좌석 주머니 또는 직접 소지 예정인가요?
- 탑승 전 보조배터리 전원은 꺼져 있는지 확인하셨나요?
- 기내 충전이 금지된 항공사 여부를 확인하셨나요?
항공사 정책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니, 탑승 전 항공사 공식 홈페이지나 공항 안내 방송을 꼭 확인하세요. 불확실한 정보나 변경 사항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신속히 반영해 드리겠습니다!
여행 떠나기 전, 보조 배터리 소지 규정을 확인하시면 예상치 못한 불편을 줄이고 안전한 비행을 즐기실 수 있겠습니다. 각 항공사마다 세부 규정이 추가될 수 있으니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 주세요~ 바로 바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
오늘도 즐거운 여행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