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해외여행 트래블카드 비교 | 5종 장단점 및 추천](https://i.pinimg.com/736x/5d/82/0b/5d820ba3b28ce444538ce98f68b550e5.jpg)
요즘은 어느 은행이 환전우대를 많이 해주는지 보다 어떤 카드사의 트래블카드가 혜택이 좋은지 트래블카드 비교가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모바일뱅킹이 익숙치 않은 분들은 아무래도 은행에서 환전해 가는 것이 편하겠지만, 한 번 트래블카드의 묘미를 맛보고 나면 도난이나 분실의 위험도 있고 현금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매우 불편하죠.
게다가 현금이 필요할 때는 atm에서 현금을 인출해서 사용하면 되니 최근 여행에서는 저도 은행에서 환전은 정말 비상금을 제외하고는 환전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는 두 달 조금 넘게 스페인에 지낼 기회가 생겨 트래블카드 비교를 알아 보는 중이었는데요. 예전에는 해봐야 트래블월렛이 다였는데, 지금 찾아보니 정말 종류가 많더라구요. 어차피 알아볼 꺼 이왕 이렇게 정리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그러면 여행에 앞서 시중에 나와 있는 해외여행객들을 타겟으로 하는 여러 트래블카드 비교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다음은 목차입니다.
우리가 내는 수수료가 얼마라고?
우리가 해외에서 돈을 쓰기 위해 수수료를 지불하는 경우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트래블카드 비교 중 핵심입니다.
- 환전 수수료(현물)
은행에서 직접 환전을 할 때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유로화 기준으로 은행 매매기준율이 1,492.91원일 때, 실제 매수가는 1,522.61원입니다. 즉, 약 1.9% 정도가 수수료로 붙습니다. 하지만 은행 앱을 통해 환전우대를 적용받으면 수수료가 0.4% 수준까지 줄어듭니다. - 해외 결제 수수료
해외 가맹점에서 카드로 결제하면 △전신환매수수료(약 1%), △국제브랜드 수수료(VISA·Master 1% 내외, AMEX 1.4%), △국내 카드사 수수료(약 0.25%)가 붙습니다. 종합적으로 신용카드 사용 시 약 2.5%가 추가로 지출됩니다. - 해외 ATM 인출 수수료
해외에서 현금을 뽑을 경우 △환전 수수료, △국제브랜드 수수료, △국내카드사 인출 수수료, △현지 ATM 사용료가 발생합니다. 일부 트래블카드는 제휴 ATM에서 무료 인출 혜택을 제공하지만, 국가는 물론 제휴 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출국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환전 수수료(현물)
우선 우리가 주로 환율이라고 흔히 말하는 것은 정확히 말하면 ‘매매기준율‘이라고 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는 외국환을 취급하는 은행들 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외환시장에서 기본이 되는 평균 환율. 이라고 명시되어 있네요.
제가 포스팅(트래블카드 비교)하고 있는 지금 기준으로 유로는 매매기준율이 1492.91원입니다. 하나은행의 경우 살 때가 1522.61원, 팔 때가 1463.21원이네요. 매매기준율과 살 때 가격의 차이인 29.7원이 은행에 지불하는 수수료가 됩니다. 그러면 1.9%정도가 환전수수료라고 할 수 있죠.
그래서 은행에서 환전우대율이라고 하는 것은 이 환전수수료를 감면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 하나은행 어플로 확인해보니 저는 80% 우대를 해주네요. 그래서 적용 환율이 1498.85원입니다. 1유로당 5.94원의 수수료를 내야 된다는 것인데요. 이러면 0.4% 정도의 수수료가 나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외 결제수수료
해외업체에서 카드결제를 하는 경우 세 가지 수수료가 나오는데,
해외결제수수료=
전신환매수수료+국제브랜드수수료+국내카드사 해외서비스수수료[참고: 청구 원화 금액(KRW) = ( 거래 미화 금액(USD) x 1.01 + 0.5 USD ) x 전신환매도율]
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전신환매수수료
해외결제 시에는 중간에 환전이 한 번 일어나게 되는데 이 때는 매매기준율로 거래가 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전신환매도율이라는 것을 적용하게 되는데, 아까 앞의 사진에서 ‘송금 보낼 때’에 해당하는 경우입니다. 뺄셈을 해보면 1유로당 14.92원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정도가 되네요.
(이후 나올 텐데 전신환매입률은 반대로 ‘송금 받을 때’에 해당하는 경우입니다. 마찬가지로 1%정도입니다)
국제브랜드수수료
국제브랜드수수료란 우리가 흔히 아는 VISA, mastercard 이런 회사에 내는 수수료입니다.
수수료는 각 회사마다 주로 이 정도 지불하게 됩니다.
VISA: 1.0~1.1% Mastercard: 1.0% AMEX: 1.4% UnionPay: 0.6~0.8%
국내카드사 해외결제수수료
이건 말 그대로 국내카드사에 내는 수수료입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게 되면 대략 대부분의 카드사에서 원화 환산금액의 0.25% 정도를 부과합니다. 다만 체크카드의 경우에는 건당 0.5달러의 수수료가 나갑니다.
=그래서 총 수수료는
신용카드: 약 2.5%
체크카드: 약 2%+0.5$
정도가 나간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해외 atm에서 현금인출
이 때는 네 가지 수수료가 나오는데
=환전수수료+국제브랜드수수료+국내카드사 해외인출수수료+atm이용수수료
국제브랜드수수료
앞서 말한 것처럼 VISA나 master이런 것들입니다.
atm이용 수수료
트래블카드 비교 중 이건 좀 다른 것이 atm기기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내는 수수료입니다. 그래서 atm기 회사나 은행마다 수수료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딱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우리가 궁금한 것은 어떻게 하면 이 수수료를 면제 받을 수 있는 것인가?인데, 이것은 VISA나 mastercard와 같은 해외브랜드회사와 제휴를 맺은 경우 면제받을 수 있으나 계속 제휴 내용이 바뀌기 때문에 사람들의 최신 후기를 확인해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는 세븐일레븐atm기가 mastercard와 제휴를 맺은 상태입니다. 저는 24년 9월 삿포로 여행에서 하나은행 트래블로그 카드를 사용했는데, 세븐일레븐 atm기에서 엔화 출금 시 수수료가 0원이었습니다.
이 카드들을 쓰면 무엇이 좋을까?
저의 트래블카드 비교는 제목에서 언급한 것처럼 5종입니다.
이 카드들을 쓰는 주된 이유는 (카드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 환전 시 수수료가 없다!
- 해외결제수수료가 없다!
- atm 인출 수수료가 없다!
- +더라운지 라운지 이용권을 준다!
등이 있습니다.
카드의 유형에 따라 분류를 좀 하면 이렇습니다.
1. 충전식: 트래블월렛, 트래블로그(하나)
2. 외화통장식: 쏠트래블(신한), 위비트래블(우리), 토스카드
본격적인 트래블카드 비교에 들어가기에 앞서 이후 간략하게 글을 쓰기 위해 앞의 내용을 이름만 정리해봤습니다.
외화충전식: 트래블월렛vs트래블로그(하나)
이 방식은 미리 원하는 외화를 충전해 두고 해외에서 현금처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환율이 유리할 때 미리 충전할 수 있어 유용하며, 친구나 동행과 N/1 정산 기능도 지원합니다.
충전 시 그날 매매기준율로 환전을 할 수 있으며 사이버머니처럼 우리 외화지갑에 외화를 충전해놓을 수 있습니다. 환율이 좋을 때 미리 환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약간 포인트 같은 개념이기에 같은 카드를 쓰는 지인에게 쉽게 송금할 수 있어 식비 같은 경우 동행과 쉽게 정산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둘 다 N/1정산 기능도 있습니다.) 또한, 카드 분실 시 카드를 정지하는 것이 간편합니다.
[트래블카드 비교]
[1. 환전수수료] | 트래블월렛 | 트래블로그(하나) |
지원통화 | 46종 | 58종 |
국제브랜드 | VISA | VISA, MASTER,UNIONPAY |
충전 시 | 매매기준율 적용
환전수수료 |
매매기준율 적용
환전수수료 |
환급 시 | 전신환매입률 적용 = 약 1% |
전신환매입률 적용 = 약 1% |
보유한도 | 200만원(전체통화) | 200만원(통화별) 혁신금융서비스 외화머니 특별한도 신청 시는 300만원 |
충전한도 | 1년 10만 달러 | 1년 10만 달러 |
[2.해외결제수수료] | 트래블월렛 | 트래블로그(하나) |
무료 | 무료 | |
결제한도 | 1년: 10만 달러(USD) | 1일: 5000달러 월: 10000달러 |
[3. atm인출수수료] | 트래블월렛 | 트래블로그(하나) |
3-1. 환전수수료 | 무료 | 무료 |
3-2. 국제브랜드수수료 | 월 500달러(USD) 이하 인출 시: 무료 초과 인출 시: 2% 수수료 |
무료 |
3-3 국내카드사 해외인출수수료 | 무료 | 무료 |
3-4 현지 atm인출 수수료 | ? | ? |
atm인출한도 | 1회 400달러(USD) 1일 1,000달러(USD) 1달 최대 2,000달러(USD) |
1일: 6000달러 월: 10000달러 |
장단점 | 트래블월렛 | 트래블로그(하나) |
장점 | – 둘 다 같은 서비스 이용하는 지인에게 전화번호만으로 송금가능, 수수료무료 – n/1 정산 서비스, 수수료 무료 – 비활성화 간단, 분실도난 시 대처 빠르게 가능 |
|
원화결제가능기념 프로모션 | 잔액 부족 시 충전기능 | |
단점 | 상대적으로 낮은 결제, 인출 한도 |
참고사이트
하나머니 앱
외화통장식: 쏠트래블(신한) vs 위비트래블(우리)vs토스카드
별도의 외화예금통장을 개설하는 방식입니다. 보유한도나 입금한도, 결제한도가 훨씬 높고 재환전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신한이나 우리은행의 경우 약간의 이자도 받을 수 있습니다.
[트래블카드 비교]
[1. 환전수수료] | 쏠트래블(신한) | 위비트래블(우리) | 토스카드 |
지원통화 | 42 | 30 | 17종 |
국제브랜드 | MASTER | MASTER | MASTER |
환전(입금) 시 | 매매기준율 적용
환전수수료: 무료 |
매매기준율 적용
환전수수료: 무료 |
매매기준율 적용
환전수수료: 무료 |
재환전(출금) 시 | 전신환매입률(약 1%)에서 50% 우대 = 약 0.5% 수수료 |
전신환매입률(약 1%)에서 50% 우대 = 약 0.5% 수수료 |
매매기준율 적용
환전수수료: 무료 |
보유한도 | 5만 달러 | 5만 달러 | |
입금한도 | 일 5000달러 몇 가지 통화는 일 1000달러 |
일 1만 달러 | 일 1천만원 월 1억원 |
이자 | USD 연2%p(세전) EUR 연1.5%p(세전) 그 밖의 통화0% |
USD 연2%p(세전) EUR연1.5%p(세전) 그 밖의 통화0% (기한 모르겠음) |
0% |
이자지급방법 | 매년 3월, 6월, 9월, 12월의 제3토요일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전영업일)에 결산하여 다음날 원가됩니다. |
[2.해외결제수수료] | 쏠트래블(신한) | 위비트래블(우리) | 토스카드 |
무료 | 무료 | 무료 (별도 고지 전까지) | |
결제한도 | 1회 6000달러 일 10000달러 월 20000달러 |
1회 6000달러 일 10000달러 |
일 600만원 월 2000만원 |
[3. atm인출수수료] | 쏠트래블(신한) | 위비트래블(우리) | 토스카드 |
3-1. 환전수수료 | 무료 | 무료 | 무료 |
3-2. 국제브랜드수수료 | 무료 | 무료 | 무료 (별도 고지 전까지) |
3-3 국내카드사 해외인출수수료 | 무료 | 무료 | 무료 (별도 고지 전까지) |
3-4 현지 atm인출 수수료 | ? | ? | ? |
atm인출한도 | 없음 |
쏠트래블(신한) | 위비트래블(우리) | 토스카드 | |
장점 | – 외화예금 이자 제공 – 더라운지 본인 무료(전월실적 30만원 이상)(반기당 1회= 1~6월 1회, 7~12월 1회) |
||
– 마스터카드 해외이용프로모션 – 다양한 귀여운 카드디자인(짱구 등) – 해외 대중교통 1% 결제일 할인 (컨택리스 결제 지원 대중교통 한정) |
– 위비트래블 해외 캐시백 프로모션 – 해외가맹점 온오프라인 5% 캐시백 |
-자동환전기능 – 토스외화통장 이용하는 지인에게 외화 송금 가능 일 500만 연 2000만 |
|
단점 | – 쏠트래블 외화예금 개설해야 함 – 외화 계좌지만 다른 계좌에서 외화송금받거나, 은행에서 현금입금 불가. |
참고 사이트
하나만 추천한다면?
지금까지 5종 트래블카드 비교해 보았는데요, 사실 뭐 하나가 제일 좋다고 말하기는 조금 어려운 것 같습니다. 지금 경쟁이 과열되어 상향평준화가 이루어져 좋은 혜택들이 꽤 많은데 여러분께서 보시고 본인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를 발급받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큼직한 장단점 위주로 트래블카드 비교 요약을 해보겠습니다.
장점은 파랑, 단점은 빨강입니다.
[트래블카드 비교]
트래블월렛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토스 | |
국제브랜드 | VISA | VISA, MASTER | MASTER | MASTER | MASTER |
환전수수료 | 환전시 무료 (달러 유로 엔만) 재환전 시 1% |
환전시 무료 재환전 시 1% |
환전시 무료 재환전 시 0.5% |
환전시 무료 재환전 시 0.5% |
환전시 무료 재환전 시 무료 |
ATM수수료 | 500$ 이하 인출 시 무료 500$ 초과 인출시 2% |
무료 | 무료 | 무료 | 무료 |
보유한도 | 200만 원 | 200만 원 | 5만 달러 | 5만 달러 | ? |
특장점 | 잔액 부족 시 충전기능 | 이자지급 더라운지 해외대중교통 1% 할인 |
이자지급 더라운지 |
자동환전기능 |
아 참 이 카드들은 모두 컨택리스 방식의 카드결제를 지원하며, 카드 수령 후에 카드에 와이파이 모양의 그림이 있으면 그 카드는 컨택리스 결제가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또한 후불교통 카드 신청을 하지 않아도 컨택리스 결제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니 트래블카드 비교 중 꼭 확인하세요.
제 개인적인 계획으로는,
- 라운지 무료이용을 위해서 신한의 쏠트래블이나 우리의 위비트래블을 전원실적인 30만원을 채울 정도로만 사용할 예정입니다.
- 그날그날 식비 등등 여행경비를 지출할 때는 환전과 재환전이 모두 무료이고, 자동환전기능이 있는 토스카드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여행 중에 가끔 마스터카드를 받지 않는 곳도 있기 때문에, 만일을 대비해서 트래블월렛이나 하나의 트래블로그도 사용할 예정입니다.
- 혹시나 동행을 구해서 정산을 할 일이 생긴다면 아마 트래블월렛이나 토스카드를 쓰지 않을까 싶습니다.
- 해외 대중교통 1% 할인이 약간 궁금해서 신한의 쏠트래블카드도 들고 가 볼 것 같습니다. 짱구카드 너무 귀엽다는게 트래블카드 비교 요인 중 하나입니다.
라운지용 = 쏠트래블
일상용 = 토스카드
비상용, 정산용 = 트래블월렛
카드사별로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은 개인의 여행 스타일에 따라 달라집니다.
- 라운지 혜택이 필요하다면 → 신한 쏠트래블 / 우리 위비트래블
- 매일 식비·쇼핑 등 일상 지출 위주라면 → 토스 트래블카드
- 동행과 여행 비용을 N/1 정산하고 싶다면 → 트래블월렛 / 트래블로그
- 안전하게 분산해서 사용하고 싶다면 → 최소 2개 이상 보유 추천
특히 장기간 여행에서는 한 카드만 의존하기보다 예비 카드를 반드시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현지에서 특정 브랜드 결제가 불가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트래블카드 비교 중 꼭 확인하세요.
결론: 나에게 맞는 트래블카드 고르는 법
현재 트래블카드 시장은 경쟁이 치열해 혜택이 상향 평준화되었습니다. 환전 수수료 무료, 해외 결제 수수료 무료, ATM 수수료 면제 등은 대부분 제공하고 있어 세부적인 차이는 부가 혜택(라운지, 캐시백, 자동환전 기능 등) 에서 갈립니다.
👉 따라서, 트래블카드 비교라는 건, 본인 여행의 목적과 패턴을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장거리 출장·장기 체류 → 외화통장형
- 단기 여행·가벼운 사용 → 충전식
- 편리성 극대화 → 자동환전 지원 카드
앞으로 스페인 장기 체류를 하며 직접 사용해본 후, 한 달 사용 후기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각 카드가 지원하는 통화 정리
ctrl+F 를 누르시면 지원하는 통화를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트래블월렛 46종
AED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AUD (호주 달러), BRL (브라질 헤알), CAD (캐나다 달러), CFP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프랑), CHF (스위스 프랑), CNY (중국 위안), CZK (체코 코루나), DKK (덴마크 크로네), EGP (이집트 파운드), EUR (유로), FJD (피지 달러), GBP (영국 파운드), HKD (홍콩 달러), HUF (헝가리 포린트), IDR (인도네시아 루피아), INR (인도 루피), ISK (아이슬란드 크로나), JPY (일본 엔), KES (케냐 실링), KHR (캄보디아 리엘), KRW (대한민국 원), KZT (카자흐스탄 텡게), LAK (라오스 킵), MNT (몽골 투그릭), MOP (마카오 파타카), MUR (모리셔스 루피), MXN (멕시코 페소), MYR (말레이시아 링깃), NOK (노르웨이 크로네), NPR (네팔 루피), NZD (뉴질랜드 달러), PEN (페루 솔), PHP (필리핀 페소), PLN (폴란드 즈워티), QAR (카타르 리얄), SAR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SEK (스웨덴 크로나), SGD (싱가포르 달러), THB (태국 바트), TRY (터키 리라), TWD (대만 달러), USD (미국 달러), UZS (우즈베키스탄 숨), VND (베트남 동), ZAR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트래블로그(하나) 58종
미국 달러(USD), 캐나다 달러(CAD), 멕시코 페소(MXN), 브라질 레알(BRL), 칠레 페소(CLP), 콜롬비아 페소(COP), 유로(EUR), 영국 파운드(GBP), 스위스 프랑(CHF), 노르웨이 크로네(NOK), 덴마크 크로네(DKK), 스웨덴 크로나(SEK), 폴란드 즈워티(PLN), 헝가리 포린트(HUF), 체코 코루나(CZK), 루마니아 레우(RON), 러시아 루블(RUB), 호주 달러(AUD), 뉴질랜드 달러(NZD), 피지 달러(FJD), 일본 엔(JPY), 중국 위안(CNY), 홍콩 달러(HKD), 대만 달러(TWD), 태국 바트(THB), 마카오 파타카(MOP), 싱가포르 달러(SGD), 베트남 동(VND), 필리핀 페소(PHP), 인도네시아 루피아(IDR), 말레이시아 링깃(MYR), 터키 리라(TRY), 인도 루피(INR), 캄보디아 리엘(KHR), 네팔 루피(NPR), 몽골 투그릭(MNT), 미얀마 짯(MMK), 바레인 디나르(BHD), 방글라데시 타카(BDT), 브루나이 달러(BND), 카자흐스탄 텡게(KZT), 스리랑카 루피(LKR), 우즈베키스탄 숨(UZS), 파키스탄 루피(PKR), 아랍에미리트 디르함(AED), 카타르 리얄(QAR), 쿠웨이트 디나르(KWD), 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R), 이집트 파운드(EGP), 오만 리얄(OMR), 요르단 디나르(JOD), 이스라엘 셰켈(ILS), 리비아 디나르(LYD), 알제리 디나르(DZD),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ZAR), 케냐 실링(KES), 에티오피아 비르(ETB), 탄자니아 실링(TZS)
쏠트래블(신한) 42종
미국 달러(USD), 캐나다 달러(CAD), 멕시코 페소(MXN), 브라질 레알(BRL), 칠레 페소(CLP), 유로(EUR), 영국 파운드(GBP), 스위스 프랑(CHF), 노르웨이 크로네(NOK), 덴마크 크로네(DKK), 스웨덴 크로나(SEK), 폴란드 즈워티(PLN), 헝가리 포린트(HUF), 체코 코루나(CZK), 호주 달러(AUD), 뉴질랜드 달러(NZD), 일본 엔(JPY), 중국 위안(CNY), 홍콩 달러(HKD), 대만 달러(TWD), 태국 바트(THB), 마카오 파타카(MOP), 싱가포르 달러(SGD), 베트남 동(VND), 필리핀 페소(PHP), 인도네시아 루피아(IDR), 말레이시아 링깃(MYR), 터키 리라(TRY), 인도 루피(INR), 네팔 루피(NPR), 카자흐스탄 텡게(KZT), 파키스탄 루피(PKR), 방글라데시 타카(BDT), 아랍에미리트 디르함(AED), 카타르 리얄(QAR), 쿠웨이트 디나르(KWD), 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R), 이집트 파운드(EGP), 이스라엘 셰켈(ILS), 바레인 디나르(BHD),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ZAR), 케냐 실링(KES)
위비트래블(우리) 30종
미국 달러(USD), 캐나다 달러(CAD), 멕시코 페소(MXN), 유로(EUR), 영국 파운드(GBP), 스위스 프랑(CHF), 노르웨이 크로네(NOK), 덴마크 크로네(DKK), 스웨덴 크로나(SEK), 폴란드 즈워티(PLN), 헝가리 포린트(HUF), 러시아 루블(RUB), 호주 달러(AUD), 뉴질랜드 달러(NZD), 일본 엔(JPY), 중국 위안(CNY), 홍콩 달러(HKD), 싱가포르 달러(SGD), 태국 바트(THB), 말레이시아 링깃(MYR), 인도네시아 루피아(IDR), 필리핀 페소(PHP), 베트남 동(VND), 대만 달러(TWD), 인도 루피(INR), 아랍에미리트 디르함(AED), 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R), 터키 리라(TRY),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ZAR), 이스라엘 셰켈(ILS)
토스뱅크 17종
미국 달러(USD), 일본 엔(JPY), 유로(EUR), 영국 파운드(GBP), 호주 달러(AUD), 캐나다 달러(CAD), 홍콩 달러(HKD), 싱가포르 달러(SGD), 스위스 프랑(CHF), 뉴질랜드 달러(NZD), 태국 바트(THB), 중국 위안(CNY), 대만 달러(TWD), 필리핀 페소(PHP), 베트남 동(VND), 인도네시아 루피아(IDR), 말레이시아 링깃(MYR)
[여행 이야기 더 읽어보기]